Research
Research in the PNU Social Neuroscience Lab mainly focuses on social decision making, in which both benefits for self and benefits for others are considered, using both behavioral and neuroscientific approaches. First, we study how our brain performs sophisticated social computation to generate predictions about others, or the social world, during social decision making. Specifically, our research topics include psychological and neural basis of prosocial behavior, altruism, and morality. Second, we investigate neuropsychological underpinning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developmental changes in social behaviors. Third, we aim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motional experiences and happiness and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s.
사회신경과학 연구실에서는 주로 우리 사회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을 연구합니다. 친사회성, 이타성, 도덕성의 심리신경학적 기제를 규명하고, 집단 규범과 문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황 요인들과 개인의 성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진행되는 주요 프로젝트
◾ 친사회행동의 유익에 관한 사회신경과학 연구
다른 사람들을 돕는 행동은 도움을 받는 사람뿐만 아니라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도 유익할까요?
이 프로젝트에서는 다른 사람들이나 공동체를 위한 친사회적 행동이 개인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건강 및 행복, 사회적 유익을 증진시키는 조건들과 심리학적, 신경학적, 면역학적 기제를 연구합니다.
평범한 시민들과 헌혈, 장기기증, 자기희생적 도움행동을 한 적이 있는 비범한 이타주의 집단이 연구에 참여합니다.
◾ 청소년기 사회연결망과 친사회성에 관한 융복합 연구
청소년기는 사회적 환경이 가족에서 또래집단, 공동체와 사회로 급격하게 확장되어가면서 사회정서적 경험과 관련된 뇌연결망의 변화도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한 고등학교 한 학년 전체의 완전사회연결망을 조사하여, 학교 내 또래관계망 구조와 그 안에서의 위치가 사회정서적 경험과 뇌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봅니다.
◾ 인간 사회성에 대한 이해에 바탕을 둔 근거-기반 문제 해결 방안 연구
우리 사회가 직면하는 많은 문제들은 궁극적으로 심리적 문제입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과 사회에 대한 사람들의 주관적 인식과 그에 따른 반응(사회적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기존의 사회과학적 접근 방법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통해서 우리 사회를 더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려고 합니다.
인간 인지 편향이 사회 갈등과 극단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이 프로젝트에서는 인간 뇌의 정보처리 방식에서 파생되는 불가피하고 근원적인 인지 편향이 도덕 판단, 규범 학습, 사회적 의사결정, 사회정서적 과정과 같은 상위 수준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니다.
예를 들어, 도덕 판단이나 규범 학습, 친사회적 행동에서 내집단과 외집단의 구분이나 정치 성향과 같은 사회정체성 요소가 미치는 영향을 설문, 행동실험, 뇌영상 기법을 이용해서 연구합니다.
◾ 개인차 연구
사회신경과학 연구실에서는 사회정서적 경험의 보편적 신경기제를 연구하는 동시에, 똑같은 상황과 사건을 사람마다 다르게 경험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연구합니다.
사회 인지 능력의 개인차 연구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정보들을 동시에 받아들이고 해석하고 예측해야 합니다. 얼굴과 목소리를 통해 상대방의 정체성과 관련된 정보를 알아차리고(사회지각) 표정이나 몸짓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 상태를 알아차려야 하며(공감), 다양한 상황 정보를 고려해서 상대방의 생각과 의도를 추론(마음화)해야 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감정과 생각을 고려하는 동시에 나의 감정과 생각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사회 지각, 공감, 마음화를 비롯한 사회정서적 정보처리의 다양한 요소와 단계들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정량화 하고, 개인의 적응과 관련된 지표들(인지적, 정서적, 대인관계적, 신체적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봅니다.
사회 정서적 경험의 개인차 연구
사람들은 똑같은 사건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정서 반응을 보이고, 똑같이 주어진 선택지들 중에서 서로 다른 선택을 합니다. 과거와 현재의 경험과 미래에 대한 기대가 다르고 그에 대한 정서 반응도 다릅니다. 평상시 떠올리는 생각이나 감정도 다르고 주어진 선택과 결과에 부여하는 주관적 가치도 다르고 가치의 우선순위도 다릅니다. 이러한 사회 정서적 경험과 의사결정의 차이는 행복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일상 생활 사건에 대한 정서 반응, 자발적 사고의 내용, 의사결정에서 관찰되는 개인차가 행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생태학적 순간 평가법(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과 설문, 행동 실험, 뇌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알아봅니다.
Publications
2024
Vlasceanu, M., Doell, K. C., Bak-Coleman, J. B., ..., Sul, S., ... & Van Bavel, J. J. (2024). Addressing climate change with behavioral science: A global intervention tournament in 63 countries. Science Advances, 10(6), eadj5778. https://doi.org/10.1126/sciadv.adj5778
Doell, K. C., Todorova, B., Vlasceanu, M., ..., Sul, S., ... & Lutz, A. E. (2024). The International Climate Psychology Collaboration: Climate change-related data collected from 63 countries. Scientific Data, 11(1), 1066. https://doi.org/10.1038/s41597-024-03865-1
Park, J., Lee, S., Gu, X., Sul, S., & Chung, D. (2024). Motivational and behavioral mechanisms underlying generalized health risking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mokers. Scientific Reports, 14, 30292. https://doi.org/10.1038/s41598-024-81898-7
Shin, W. G., Jyung, M., Choi, J. A., Choi, I., & Sul, S. (2024). Striatal-hippocampal functional connectivity contributes to real-life positive anticipatory experiences and subjective well-being.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nsae096. https://doi.org/10.1093/scan/nsae096
2023
Chey, J., Cho, I., …, Sul, S., & Youm, Y. (2023). Preventing dementia with connection, reserve and brain health. In J Chey Ed., Society within Br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Cho, I., & Sul, S. (2023). Origi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and social brain. In J Chey E., Society within Br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Sul, S., & Cho, I. (2023). Social brain and how it links social intelligence and well-being. In J Chey Ed., Society within Br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Shin W., Jyung, M, Choi, I., & Sul S. (2023). Perceived financial well-being and its association with frontostriatal functional connectivity, real-life anticipatory experiences, and everyday happiness. Scientific Reports, 13, 18739. https://doi.org/10.1038/s41598-023-44001-0
Kim, M*., Shin, S*., Jyung, M., Choi, J-A., Choi, I., Kim, MJ., & Sul S. (2023). Corticolimbic structural connectivity encapsulates real-world emotional reactivity and happiness.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18(1), 1-10. *Equal author contribution. https://doi.org/10.1093/scan/nsad056
Kim, M. J., & Sul, S. (2023).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brain, social connectedness, and well-being. Frontiers in Psychiatry, 14, 1-6. https://doi.org/10.3389/fpsyt.2023.1112438
Shin, W., Park, H., Kim S-P., & Sul, S. (2023). Individual differences in gaze-cuing effect are associated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social conformity. Frontiers in Psychology, 14, 1219488. https://doi.org/10.3389/fpsyg.2023.1219488
Bang, J., Park, J., Kwon, O-S., Kim, HJ., Chung, D., & Sul, S. (2023). The effect of political orientation, utilitarianism, and use of new media on attitudes toward COVID-19 polic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7(3), 259-286.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3.005 (방준호, 박지원, 권오상, 김효정, 정동일, 설선혜 (2023). 정치 성향과 공리주의 성향, 뉴미디어 이용이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37(3), 259-286.)
2022
Shin, W., Jung, M., Choi, I., & Sul, S. (2022). Effects of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s on happi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6(2), 133-144.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2.003 (신원교, 정민화, 최인철, & 설선혜 (2022). 일상생활 사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6(2), 133-144.)
Han, E. J., Na, J., Bang, J., & Sul, S. (2022).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s Mask Wearing in the Midst of COVID-19.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6(1), 47-67.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1.003 (한은진, 나진경, 방준호, & 설선혜 (2022). 코로나 상황 속 마스크 착용에 대한 외현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6(1), 47-67.)
2021
Bang, J., Choi, J., Choi, I., & Sul, S. (2021). Pleasure and meaning of charitable donation:
the effect of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giving on hedonic vs. eudaimonic happi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5(4), 49-75. https://doi.org/10.21193/kjspp.2021.35.4.003 (방준호, 최종안, 최인철, 설선혜 (2021). 기부의 즐거움과 의미: 도움 제공자의 사회 가치 지향성에 따른 쾌락적 행복과 자기실현적 행복 경험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5(4), 49-75.)
Kim, E. Y., Sul, S., … & Kim, H. (2021). Effects of Oxytocin on Social Comparisons in Intergroup Situations. Brain Sciences, 11(9), 1227. https://doi.org/10.3390/brainsci11091227
Sung, S-H., Kim, S., … , Sul, S., … & Kim, S-P. (2021). A Study on Facial Expression Change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with Feature Selection Technique. Mathematics, 9(17), 2062. https://doi.org/10.3390/math9172062
Sul, S., & Kim, M. J. (2021). Human dorsomedial prefrontal cortex delineates the self and other against the tendency to form interdependent social representations. Neuron, 109(14), 2209-2211. https://doi.org/10.1016/j.neuron.2021.06.029
Park, J., Lee, S., Sul, S., & Chung, D. (2021). Depression symptoms mediate mismatch between perceived severity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reventive motives. Frontiers in Psychology, 12, 650042. https://doi.org/10.3389/fpsyg.2021.650042
Everett, J. A., Colombatto, C., ..., Sul, S., ... & Crockett, M. J. (2021). Moral dilemmas and trust in leaders during a global health crisis. Nature Human Behaviour, 5(8), 1074-1088. https://doi.org/10.1038/s41562-021-01156-y
2020
Cho, I., Song, H. J., Kim, H., & Sul, S. (2020). Older adults consider others’ intentions less but allocentric outcomes more than young adults during an ultimatum game. Psychology and Aging, 35(7), 974-980. https://doi.org/10.1037/pag0000577
Sul, S., Choi, J., & Choi, I. (2020). Belief in the distribution of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4(4), 37-61. https://doi.org/10.21193/kjspp.2020.34.4.003 (설선혜, 최종안, 최인철 (2020). 행복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4(4), 37-61.)
2019
Lee, S., & Sul, S. (2019). Ingroup-outgroup difference in moral judgment: The effect of group membership of he transgressor and the location of transg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3(1), 19-52. https://doi.org/10.21193/kjspp.2019.33.1.002 (이승민, 설선혜 (2019).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내-외집단 차이: 위반 주체 소속집단과 위반 장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3(1), 19-52.)
2018
Lee, M., Sul, S., & Kim, H. (2018). Social observation increases deontological judgments in moral dilemmas.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39(6), 611-621.
https://doi.org/10.1016/j.evolhumbehav.2018.06.004Jung, D., Sul, S., Lee, M. & Kim, H. (2018). Social Observation Increases Functional Segregation between MPFC Subregions Predicting Prosocial Consumer Decisions. Scientific Reports, 8(1), 1-13. https://doi.org/10.1038/s41598-018-21449-z
Sul, S., & Lee, S. (2018).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s of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in moral judgment.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9(2), 137-160. http://dx.doi.org/10.19066/cogsci.2018.29.2.004 (설선혜, 이승민 (2018).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대한 논쟁과 함의. 인지과학, 29(2), 137-160.)
Kim, H., & Sul, S. (2018). Uniqueness and Major Issues of Neuroethics.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9(1), 61-84. http://dx.doi.org/10.19066/cogsci.2018.29.1.004 (김효은, 설선혜 (2018).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인지과학, 29(1), 61-84.)
2017
Sul, S., Güroğlu, B., Crone, E. A. & Chang, L. J. (2017). Medial prefrontal cortical thinning mediates shifts in other-regarding preferences during adolescence. Scientific Reports, 7(1), 1-10 . https://doi.org/10.1038/s41598-017-08692-6
Cheong, J. H., Jolly, E., Sul, S., & Chang, L. J. (2017). Computational models in social neuroscience. Computational Models of Brain and Behavior, 229-244.
2016
Sul, S., Kim, J., & Choi, I. (2016).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uffering and hedonic editing in the quotidian. Cognition and Emotion, 30(6), 1063-1080. https://doi.org/10.1080/02699931.2015.1048669
Hein, G., Morishima, Y., Leiberg, S., Sul, S., & Fehr, E. (2016). The brain’s functional network architecture reveals human motives. Science, 351(6277), 1074-1078. https://doi.org/10.1126/science.aac7992
2015
Sul, S., Tobler, P. N., Hein, G., Leiberg, S., Jung, D., Fehr, E., & Kim, H. (2015). Spatial gradient in value representation along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refl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prosociali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2(25), 7851-7856. https://doi.org/10.1073/pnas.1423895112
Ranehill, E., Dreber, A., Johannesson, M., Leiberg, S., Sul, S., & Weber, R. A. (2015). Assessing the robustness of power posing: No effect on hormones and risk tolerance in a large sample of men and women. Psychological Science, 26(5), 653-656. https://doi.org/10.1177/0956797614553946
2014
Kim, E., Sul, S., Yoo, H., Kim, H., & Song,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ltruism in the reinforcement Learning task and their children`s empath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9(2), 117-136. https://doi.org/10.18205/kpa.2014.19.2.002 (김은영, 설선혜, 유하나, 김학진, 송현주 (2014). 강화학습과제에서의 어머니의 이타적 성향과 자녀의 공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9(2), 117-136.)
Sul, S., Lee, M., & Kim, H. (2014).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Altruism with Altruistic Learning Task.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3(2), 467-489. UCI: G704-001037.2014.33.2.009 (설선혜, 이민우, 김학진 (2014). 이타적 강화학습과제를 이용한 이타성의 측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2), 467-489.)
Lee, M., Sul, S., & Kim, H. (2014). The Impact of Moral Decision Style on Impression Formatio,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and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8(2), 201-226.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11 (이민우, 설선혜, 김학진 (2014). 도덕적 딜레마에서의 판단 경향성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28(2), 201-226.)
2013
Kang, P., Lee, J., Sul, S., & Kim, H. (2013). Dorsomedial prefrontal cortex activity predicts the accuracy in estimating others' preference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7, 686. https://doi.org/10.3389/fnhum.2013.00686
Jung, D., Sul, S., & Kim, H. (2013). Dissociable neural processes underlying risky decisions for self versus other. Frontiers in Neuroscience, 7, 15. https://doi.org/10.3389/fnins.2013.00015
Na, J., Choi, I., & Sul, S. (2013). I like you because you think in the “right” way: Culture and ideal thinking. Social Cognition, 31(3), 390-404. https://doi.org/10.1521/soco.2013.31.3.390
Park, B. K., Choi, J. A., Koo, M., Sul, S., & Choi, I. (2013). Culture, self, and preference structure: Transitivity and context independence are violated more by interdependent people. Social Cognition, 31(1), 106-118. https://doi.org/10.1521/soco.2013.31.1.106
Sul, S., Kim, J., & Choi, I. (2013). Subjective well-being and hedonic editing: How happy people maximize joint outcomes of loss and gai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4(4), 1409-1430. https://doi.org/10.1007/s10902-012-9379-6
Kim, M., Sul, S., & Mun, Y. (2013). The Impact of Perceiving Angry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s on Decision Making Performance in Threat Situations.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5(4), 445-461. https://doi.org/10.22172/cogbio.2013.25.4.004 (김민우, 설선혜, 문양호 (2013). 분노표정과 공포표정의 지각이 위기상황에서의 판단과 대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5(4), 445-461.)
2012 & before
Sul, S., Choi, I., & Kang, P. (2012). Cultural modulation of self-referential brain activity for personality traits and social identities. Social Neuroscience, 7(3), 280-291. https://doi.org/10.1080/17470919.2011.614001
Kang, P., Sul, S., & Choi, I. (2011). Gender Differences in Thin-Slice Judgement during the Opposite-Sex Impression Form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3), 61-76.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3.005 (강평원, 설선혜, 최인철 (2011). 이성 간 인상형성에서 일어나는 단편 판단(Thin-slice Judgement)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3), 61-76.)
Sul, S., & Choi, I. (2009). Analytic Versus Holistic Thinking and Perceptions of Causal Impact.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3), 19-38. https://doi.org/10.21193/kjspp.2009.23.3.002 (설선혜, 최인철 (2009). 분석적-종합적 인지양식과 파급효과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3), 19-38.)
Sul, S., & Lee, C. (2008). Neuroethics: Ethical, philosop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and its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7(1), 1-41. UCI: G704-001037.2008.27.1.009 (설선혜, 이춘길 (2008). 신경윤리학: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1-41.)